7일 화성시균형발전기획단 배강욱 공동단장(이하 단장)은 “경기남부권 국제공항 건립에 최 적합 장소는 화성, 경기도가 나서야 수원 군공항이 덤으로 이전된다.”라며 김동연 도지사의 빠른 판단을 요구했다.
정명근 화성시장과 함께 공동단장인 배강욱 단장은 사무실에 들어선 기자가 수원의 빅이슈 군공항 이전 이야기를 꺼내자 작심한 듯 성토했다.
“순서가 있다. 경기도가 먼저 수원 군공항 이전을 공론화해야 한다. 군공항이 어디로 갈 건지 의논해야 화성도 검토하는 것이다. 이런 절차도 없이 마구잡이로 화성에 군공항 이전 어쩐다 하는 말들을 마구 뿌려대니, 화성시민들이 수원을 좋게 볼 일이 있나?” 화성의 발전을 누구보다 원하는 배강욱 단장은 빅이슈의 서론을 이렇게 꺼냈다.
경기도가 먼저 수원 군공항 이전을 공론화해야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공약이 군공항 이전이었다. 수원은 빨리 ‘군공항 이전!’을 외쳐야 한다. 군공항 부지는 공항만 160만 평 정도이며, 인접한 땅까지 합치면 약 600만 평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원의 군공항 이전을 화성시에서 반대했던 대표적인 인물로 채인석 전 시장이 있다. 그는 “수원에서 군공항 내보내고 그 자리 160만 평에 아파트 지으면 동탄 아파트가 똥값 된다. 그러니까 반대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배강욱 단장은 “이게 무슨 소리냐. 분당 봐라, 판교를 지어도 분당아파트값이 떨어지나, 동반 상승했다. 영통과 동탄도 그랬다. 지금 수원 공항의 자리가 동탄보다 입지가 나쁘지 않다. 더 남쪽이고 전철도 다니는 곳이다. 수원이 커나갈 수 있어서 동반 상승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경기남부권의 국제공항 부지는 현재 화성뿐이다. 다만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해 어쩔 수 없이 군공항을 덤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수원 군사공항이 국제공항 일부로 포함돼서 올 수 있다. 즉 민군합동공항을 그려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15개 공항 중 8개가 민군 합동공항이다. 최근 홍준표 대구시장은 민군합동공항을 만들어서 대구경제를 일으키려 국방부와 협의했다. 국제공항을 만든다면 싫어할 지자체가 한 군데도 없다. 그런데 화성에 군공항이 먼저 온다고 소문이 났다. 그게 국제공항까지 엮이니까 사람들이 헷갈린다. 차기 출마를 염두에 둔 어떤 사람은 사람들을 조장해서 마구잡이 반대를 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배강욱 단장은 화성 출신은 아니다. 이곳에 오니 저절로 이해가 됐다. 수원에서 화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누구 편을 들기 전에 수원이 화성의 1/6.5 면적을 가졌음에도 화성이 그동안 수원보다 발전이 밀려온 것이 사실이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4차 산업, 국가 미래의 성장 동력 산업을 일으킬 계획을 언론에 피력하기도 했다.
수원 군공항을 화성에 보낸다고 들먹이지 말라! 순서가 있다.
배강욱 화성시균형발전기획단장은 “군공항만 가지고 따지면 화성에서는 예를 들어 혐오 시설이 들어오는 것으로 인식한다. 제가 생각해도 군공항만 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수원시장, 수원 국회의원은 수원에서 군공항을 몰아내면 된다. 그런데 그걸 화성이라고 왜 자꾸 들먹이는가, 화성과 감정싸움 하겠다는 거다.“
동탄의 최대 강점은 전국 어디든 편하게 갈 수 있는 SRT가 다닌다. 녹지가 많고 공원이 많아서. 전철 하나 들어오면 동탄이 크게 빛을 볼 그것으로 예상한다. GTX-A가 2024년 6월 착공인데, 1년 정도 늦어져도 하면 25년에는 시작한다. 그렇게 되면 동탄은 수석까지 17분 만에 간다. 화성의 서쪽은 또 도농 복합 지역이다. 동서 간 격차가 커서 균형을 맞추며 발전을 하는 것이 현재 화성이 나아갈 길이다.
화성은 경기도 31개 시군 중 세수입 1위, 재정자립도 3위안에 드는 지자체다.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외신에서는 화성시를 세계 10대 도시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바다를 끼고 있고 도농복합도시로 면적은 서울보다 1.6배 큰 화성, 무엇보다 개발 면적이 대단히 넓게 남아 있으며 모두 쓸모 있는 땅이다.
이제 화성은 균형 발전을 생각한다. 계층 균형(남녀, 젊은이와 노인 등), 소득 균형(갑작스런 땅 부자와 비정규직, 외국인노동자), 산업별 균형(대기업과 소규모 공장)을 어떻게 맞출 것인가. 눈에 보이는 지역 간 격차와 보이지 않는 실질적인 부분까지 화성시가 살펴야 할 부분이 많고 또 발전 가능성이 무한하다. 농업과 수산업, 관광자원 등 1,2,3차 산업이 다 있는 곳이 화성이다. 사람들의 요구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수용할 것인가는 앞으로 시가 풀어가야 할 숙제다.
화성시는 한시적인 기구인 화성시균형발전기획단을 상설기구로 전환하고, 화성시민의 오랜 염원에 귀 기울이고 매듭을 정리하길 요구한다. 그때 비로소 화성시가 대한민국의 가장 지속발전하는 지자체로 우뚝 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