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축구 승강제 구성이 끝났다.
프로–세미프로, 세미프로–아마추어간 승강제로 연결
프로리그(2부)와 세미프로(3부), 세미프로(4부)와 아마추어(5부) 간 승강제 시스템을 2027년부터 시행한다.
대한민국축구리그는 K리그1(프로), K리그2(프로/2부리그), K3리그(세미프로/3부리그), K4리그(세미프로/4부리그), K5리그(아마추어/5부리그), K6리그(아마추어), K7리그(아마추어)로 나뉜다.
지난 3월 28일 대한축구협회는 축구리그 승강제에 대해 프로축구연맹과 합의를 발표했다. 2026년 시즌 성적을 기준으로 2027년 승격과 강등팀이 정해진다.
협회는 “이로써 프로축구인 1부리그부터 동호인 축구인 7부리그까지 한국 성인 축구 전체의 승강 시스템이 3년 뒤에 사실상 완성될 예정이다. 프로축구가 첫 출범한 1983년 이후 44년만에 구축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3부리그팀이 승격되려면 K리그 클럽 라이선스 취득3월 28일 대한축구협회는 축구리그 승강제에 대해 프로축구연맹과 합의를 발표했다. 과 3부리그 우승 그리고 재정, 유소년지원, 시설 등의 프로 자격 있는지 판단하고 승격된다. 만약에 3부리그 우승팀이 해당 조건이 안돼서 프로가 되지 못하면 2부리그 최하위팀은 2부리그 잔류한다.
이에 대해 축구팬들은 “결국 투자를 늘려야 라이센스를 취득하기 때문에 시의 재정적 지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K5에서 K4로 승격하는 팀이 생겨도 K4팀의 강등은 한시적으로 유예된다. 대한축구협회는 이에 대해 “K4리그 팀 수의 확대와 현재 세미프로인 K4리그와 동호인 선수들이 뛰는 K5리그의 환경차이를 고려해 일시적으로 강등은 보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