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남양주 왕숙지구에 6천억 규모 ‘AI 디지털 허브’ 구축… 경기북부 신성장 거점 기대

국내 대표 디지털 플랫폼 기업 ㈜카카오가 경기도 남양주 왕숙지구에 약 6천억 원을 투입해 ‘AI 기반 디지털 허브’를 조성한다. 경기북부의 미래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경기북부 AI 심장된다” 경기도, 카카오 ‘AI 디지털 허브’ 투자유치

경기도는 13일 도청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신아 ㈜카카오 대표, 주광덕 남양주시장,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AI 기반 디지털 허브 건립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카카오는 남양주 왕숙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약 3만4천㎡ 부지에 디지털 허브를 조성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는 약 6천억 원으로, 2026년 착공해 2029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경기도와 남양주시는 행정 절차 지원과 부지 확보 등을 책임지고, LH는 산업단지 조성과 부지 공급을 맡는다.

김동연 지사는 “다보스포럼에서도 AI 기술 진보가 주요 주제였고, 이는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핵심 분야”라며 “경기북부를 잇는 AI 문화산업벨트 구상의 핵심축으로서 이번 디지털 허브 유치는 매우 뜻깊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기도는 사업이 신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북부 AI 심장된다” 경기도, 카카오 ‘AI 디지털 허브’ 투자유치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AI 대중화 시대를 맞아 국민 누구나 손쉽게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카카오의 목표”라며 “디지털 허브는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며, 지역과의 상생 협력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투자는 수도권 규제와 산업 기반 부족으로 기업 유치에 어려움을 겪어온 경기북부에 카카오와 같은 대형 기업의 진출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경기도는 이 협약을 통해 경기북부를 AI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고, 첨단 일자리 창출 및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카카오는 단순한 시설 조성을 넘어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강조했다. 디지털 허브 내에는 스타트업과 시민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소통 공간이 마련되며, 도민 우선 채용,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시민 대상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역 연계 사업이 함께 추진된다.

남양주 왕숙지구는 진접읍, 진건읍, 퇴계원읍 등 일대 1,029만㎡ 규모의 공공주택지구로, 2023년 6월 착공해 2028년 완공을 목표로 조성 중이다. 이곳에는 자족기능 강화를 위해 120만㎡ 규모의 도시첨단산업단지가 지정될 예정이며, 카카오 디지털 허브는 그 핵심시설 중 하나로 기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투자유치는 민선 8기 경기도가 추진 중인 ‘100조+ 투자유치 전략’과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경기도는 앞으로도 반도체·바이오·모빌리티·AI 등 5대 산업벨트 조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최신뉴스

등록번호 : 경기 아52828 | 등록일 : 2021년 04월 02일  발행᛫편집인 : 김혜숙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혜숙

이메일 : kgnambu@naver.com  주소 : 우)16311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정로 76번길 45 경기남부뉴스  전화 : 031-244-8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