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랴오닝성 자매결연 30주년 기념 명대 서화 특별전

명경단청 明境丹靑 : 그림 같은 그림연계 국제학술대회

명대 서화예술의 전개와 확산경기도박물관에서 개최

경기도와 중국 랴오닝성 ‘자매결연 30주년 공동선언’의 결실로 볼수있는  《명경단청明境丹靑: 그림 같은 그림》 특별전이 2024년 12월 5일부터 2025년 3월 2일까지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에서 개최 중이다. 이번 전시는 경기도와 랴오닝성 대표 박물관 간 교류를 통해 우수 문화유산을 서로 알리기 위하여 추진된 것으로 랴오닝성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명대 서화 53점이 경기도박물관 특별전시를 통해 공개되고 있다. 이 서화예술품들은 명대의 대표적인 화가와 서예가들의 주옥같은 작품들로 평가받는다.

경기도박물관은 오는 2월 6일 이 특별전을 연계하여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행사의 주제는 “명대 서화예술의 전개와 확산”이다. 중국, 일본, 미국, 한국에서 활동하는 미술사학 교수와 연구자들이 모여 중국 명대 서화예술의 발전과 전개, 동아시아적 확산과 영향 관계에 대해서 발표하고 토론한다.

6일 오전 기조 발제와 강연은 「중국 명대 회화예술-랴오닝성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양용, 랴오닝성박물관), 「조선시대 명대 회화의 수용과 변용」(홍선표, 이화여대 명예교수), 「조선시대 명대 서풍의 수용과 변용」(이완우,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등 세 편이다. 랴오닝성박물관 서화예술을 중심으로 명대 회화의 예술에 대한 발제와 중국 명대 회화와 서예가 조선시대의 회화와 서예에 미친 영향 관계에 대한 강연이다.

오후에는 모두 여섯 편의 연구 발표가 이어진다. 「혜가의 팔뚝이 동쪽으로 간 까닭은? – 혜가단비(慧可斷臂)에 대한 단상」(조인수,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은 명대 전기의 화가 대진(1388-1462)의 작품 〈선종육대조사도권〉에 주목한 연구발표다. 이 작품은 한국에 처음 소개된 작품으로 참선을 위주로 하는 혁신적 불교인 선종의 비조 달마로부터 혜가-승천-도신-홍인-혜능으로 이어지는 육대 조사를 차례로 묘사한 그림이다. 「셋슈(雪舟)가 본 동아시아」(이타쿠라 마사아키 板倉聖哲,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는 선종 승려이자 일본 수묵화의 대성자로 불리는 셋슈(雪舟, 1420-1506)가 보았을 중국 회화를 상정해 보고 그의 그림이 중국과 한국에서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를 연구한 발표이다. 「명대 오파회화 속 ‘동천(洞天)’ 이미지」(최여훈, 명지대학교)는 명대 오파 화가들이 그린 동천복지 그림들을 동천의 시각화 전통의 맥락에서 살펴본다.

중국 명대 서화전을 연계하여 펼쳐지는 이번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한국과 중국, 일본, 미국에서 활동하는 관련 연구자들의 학술적 성과가 발표되며, 명대 서화가 조선과 일본에 미친 영향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행사 장소는 경기도박물관 1층 뮤지엄아트홀이며, 당일 학술행사는 경기도박물관 유튜브로 중계할 계획이다.

행사 신청은 이메일로 접수받는다. musenet1@naver.com (참석자 이름, 전화번호 기재) / 행사 문의 031-288-5400, 5357

최신뉴스

등록번호 : 경기 아52828 | 등록일 : 2021년 04월 02일  발행᛫편집인 : 김혜숙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혜숙

이메일 : kgnambu@naver.com  주소 : 우)16311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정로 76번길 45 경기남부뉴스  전화 : 031-244-8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