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소아 응급 및 야간·휴일 진료기관 현황

경기도가 소아 진료 공백 해소를 위해 발 벗고 나섰다. 대학병원의 소아응급 진료 기피와 소아과 ‘오픈런’ 현상에 선제적으로 대응, 전국 최다인 45개소의 소아 야간·휴일 진료기관을 운영하며 촘촘한 진료 인프라를 구축한 것이다.

전국적으로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부족과 의료인력 이탈이 심화되면서 소아 진료 공백이 지속되는 심각한 상황이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경기도는 지난해부터 ‘경기도 소아 야간·휴일 진료 개선 대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며 차별화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경기도의 노력은 괄목할 만한 성과로 이어졌다. 2021년 5개에 불과했던 소아 야간·휴일 진료기관은 현재 소아응급 책임의료기관 3개소, 달빛어린이병원 31개소, 취약지 소아 야간휴일진료기관 11개소로 확대되어 총 45개소를 운영 중이다. 이는 단순히 기관 수를 늘린 것을 넘어, 소아 환자의 증상 중증도에 따라 진료기관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연계하여 부족한 소아 의료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의료 접근성을 크게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소아응급 책임의료기관은 중증 소아응급환자에 대해 24시간 응급실 전담 진료를 제공하는 핵심 기관이다. 경기도는 기존 분당차병원, 아주대병원에 더해 올해 5월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을 추가로 지정하며 경기 남·북부 권역별 응급 의료 대응 체계를 강화했다.

달빛어린이병원 31개소는 밤에도 낮과 동일하게 소아 환자를 진료하며 응급실 과밀화 해소와 야간·휴일 진료 편의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평일 밤 11시, 주말 저녁 6시까지 외래 진료를 제공하며, 실제 이용 건수 또한 2021년 12만 건에서 2024년 105만 건으로 8.6배나 증가했다. 운영 기관 수도 같은 기간 5개소에서 31개소로 6.2배 늘어났다.

뿐만 아니라, 경기도는 달빛어린이병원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의료기관을 위한 지원책도 마련했다. 인력 채용 등의 문제로 운영 시간 충족이 어려운 기관에 운영비를 지원하는 ‘경기도 취약지 소아 야간·휴일 진료기관 제도’를 통해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고 있다. 달빛어린이병원이 없거나 멀리 떨어진 8개 시·군(화성시, 용인시, 의왕시, 안산시, 시흥시, 구리시, 파주시, 가평군)의 소아 진료 접근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초까지 소아 진료 공백 해소를 위해 개선 대책 수립과 진료기관 확대를 중점적으로 추진했다”며, “앞으로는 단순한 기관 수 확대에 그치지 않고 중증도에 따라 적절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체계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도의 선제적이고 다각적인 노력은 전국적인 소아 진료 위기 속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촘촘하게 구축된 야간·휴일 진료망은 도민들에게 안심을 제공하며, 타 지역에도 귀감이 될 만한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최신뉴스

등록번호 : 경기 아52828 | 등록일 : 2021년 04월 02일  발행᛫편집인 : 김혜숙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혜숙

이메일 : kgnambu@naver.com  주소 : 우)16311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정로 76번길 45 경기남부뉴스  전화 : 031-244-8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