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복순 기자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김준혁 의원실에 제출한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 미달자 보충학습 운영 관련 학교 현장의 애로사항」 자료
시행 첫해, ‘최소성취수준 보장지도’를 위한 보충학습이 전국에서 9,700여 개나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고교 교사 1만여 명이 투입되었지만, 미도달 학생 10명 중 4명은 보충수업에 불참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교학점제가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와 교육 다양성을 취지로 시행되었지만, 적지 않은 교원 인력 투입과 보충수업 개설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최소성취수준 보장지도’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김준혁 의원실에 제출한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 미달자 보충학습 운영 관련 학교 현장의 애로사항」 자료에는 교사들의 고충이 구체적으로 담겼다.
행정업무 과중형으로는 “학생 지도보다 계획서보고서 작성, 나이스 입력 등 행정 절차에 더 많은 시간을 빼앗기고 있다.”로 나타났고, 시스템 한계형으로는 “나이스 처리 절차가 비효율적이고 오류가 잦아 같은 업무를 반복해야 한다.”로 고충이 나타났다.
또 “대다수 교육청에서 보충학습 운영비 예산이 편성되지 않아, 방학 중 지도에도 교사들에게 수당이 지급되지 않는다.”라는 운영비수당 지원 부족형 답변이 있었다.
보충학습 대상자가 학기말 성적 산출 후 확정돼, 짧은 방학 기간에 몰아서 운영하다 보니 내실 있는 지도가 불가능한 운영시기 문제도 담고 있었다.
김준혁 의원은 “교원 개개인의 부담이 큰 구조로 운영을 하고도 최성보를 통과하지 못하는 학생이 나오는 구조를 실질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